전남노동자권익센터, 안전모 이름 달기 등 2개 사업
3700만 원 국·시비 예산 배정…”안전·인권 모두 챙겨”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1일 경기 평택시 자동차 부품 제조사업장인 디에이치를 방문해, 외국인 근로자 안전보건 관리에 대한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사진= 고용노동부 제공) 2024.10.2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건설현장 등지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의 안전모에 이름을 붙여 안전사고 경각심을 일깨우고 인권을 존중하자는 민간의 아이디어가 노동당국의 예산 지원 사업에 채택됐다.
전남노동자권익센터(센터)는 오는 5월 진행을 앞둔 사업 2개에 대해 고용노동부로부터 예산을 지원받게 됐다고 10일 밝혔다.
지원 사업은 ▲이주노동자 안전모 지급·이름 불러주기(신규사업) ▲이주노동자 작업복 나눔 등 2개다. 두 사업에는 국·시비 3700여 만원이 투입된다.
센터는 그간 야외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작업복 나눔, 젓가락 사용이 여의치 않은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식사 배려 사업을 자체 진행해왔다.
올해부터는 지역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이주노동자들의 안전사고 경각심 등을 위해 저마다 이름이 쓰인 안전모를 지급하는 사업을 새로 진행한다.
특히 이 사업에는 이주노동자들이 건설현장에서 호칭 없이 “야” 등으로 불리는 사례를 예방, 인권을 존중하자는 뜻도 담겼다.
센터는 이 사업을 통해 건설·조선업현장 내 안전과 인권을 모두 챙길 수 있다는 점을 들면서 예산 대비 큰 효율을 기대하고 있다. 전남지역 건설현장 내 이주노동자 수는 3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예산 지원에서 나아가 수범사례로 꼽힐 경우 전국 사업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문길주 센터장은 “전남도와 노동당국이 이주노동자들의 안전·인권과 문제 해결 차원에서 접근, 예산을 지원하는 결정으로 이어졌다. 이주노동자들의 산업재해 피해가 늘고있는 만큼 이번 사업 선정이 안전과 인권 등을 함께 챙기는 계기가 될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